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에게 맞는 암보험은?

by 렛츠7 2023. 2. 5.
반응형

우리나라의 사망률 1위의 질병이 암이다. 2009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사망자 28.3% 암으로 죽었다. 교통사고의 10배이다. 하지만 생존율도 높아지고 있다. 과학과 첨단기술이 발전하면서 조기발견과 다양한 치료법 등이 개발된 덕분이다.  2010 기준 국민의 80 이상이 암으로 치료를 받은적이 있거나, 치료중인 사람들이다.

20~30 전만 일반인들은 해도 암은 걸리면 무조건 죽는 병으로 알고 있었다. 암인지 모르고 죽은 사람들도 있었다고 한다. 의학 기술의 한계점도 있었지만, 당시에는 병원비도 굉장히 비쌌다고 한다. 근래에는 국민건강보험의 보험급여가 확대되면서 치료비가 많이 줄었다. 그러나 여전히 병원비에는 보험적용이 되는 비급여항목이 넘친다. 입원비, 검사비, 간병비 실질적인 치료비용부터 실직으로 인한 부채와 기타 요양비까지 포함하면 환자 부담은 여전히 만만치 않다. 대개 전체 비용의 30% 환자 부담으로 남는 편이다.

암보험은 필요한가?

이쯤되면 진단 1 준다는 텔레비전의 암보험 광고가 솔깃해진다. 2009 국내 암보험 가입률은 57% 정도. 2000년대 중반 40% 약간 넘었던 것에 비하면 상승한 수치다. 그러나 아직도 10 4명은 보험이 없는 상황이다.

암보험은 암으로 진단 진단비는 물론 입원비, 수술비, 항암방사선, 표적항암 치료비 암에 관련한 전반적인 비용을 보장하는 특화 보험상품이다.

첫째, 진단비다. 보험 계약자가 암으로 진단받았을 지급되는 돈이다. 둘째, 입원비다. 진단 확정 치료를 목적으로 일정 기간 이상 입원하면 지급된다. 최대 120 정도 지급된다. 셋째, 수술비다. 암으로 확정된 치료를 목적으로 수술을 받으면 지급된다. 그러나 내시경이나 복강경 수술 최신수술법은 수술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넷째, 치료비로 진단 치료를 목적으로 방사선이나 항암치료를 받을 지급되는 금액이다 요즘은 표적항암방사선치료라는 환자들에게 좀더 효과적인 치료방법도 있다.

의료진을 비롯한 전문가들은 암보험을 하나쯤은 들어놓기를 권한다. 암에 걸린 치료비 등을 걱정하기보다, 미리 준비하여 금액의 치료비를 보험으로 대신하는게 심적으로나 경제적으로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왜 필요한지 모를때?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이 2009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암환자 1인당 경제적 비용부담은 평균 2970만원 정도다. 가장 부담이 암은 백혈병으로 6700만원, 2위는 6620만원인 간암, 뒤를 이어 췌장암이 6370만원으로 3위을 차지했다. 치료비도 문제지만 문제는 발생 가정 소득도 함께 줄어든다는 점이다. 종류와 병기를 막론하고 주요 암의 호발 연령은 대개 50대와 70 사이가 최고다. 몇몇 암에서는 40대에서 60대가 정점을 찍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퇴직연령이 60 65세라는 점을 감안하면, 소득 주체가 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남은 가족들은 간병을 감당해야 치료비를 위해 소득을 올리기가 쉽지 않다.

보험이 절실해지지만, 막상 보험을 들려고 하면 망설여진다. 개도 아닌 보험 종류에, 복잡한 약관 뭐가 뭔지 하나도 모르겠다는 이들도 적지 않다. 우선 암보험을 들기 살펴봐야 것을 꼽아보면 다음과 같다.

1. 갱신형, 비갱신형

가장 먼저 살펴봐야 것은갱신형비갱신형이다. 갱신형이란 전기납보험으로  보장기간 동안 보험료가 오를 수도 있다는 뜻이다. 갱신기간을 3, 5, 10, 20, 30, 보장기간을 80, 90 100 등으로 했을 갱신때마다 보험료가 많이 오를 있으며 오르는 보험료를 보장기간 내내 납입해야 한다. 반면 비갱신형은 납입기간동안의 보험료가 가입 당시에 결정돼 납입기간동안 매달 같은 금액의 보험료만 내면 된다. 물가상승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비갱신형이 저렴하다고 있으므로 비교해보고 현재 자신의 상황에 맞는 것으로 골라 가입해야 한다.

2. 보장기간

보장기간이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시대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은 요즘은 병원에 80 이상 고령 암환자도 적지 않다. 만약 들어놓은 암보험이 80세가 만기면 80 이후에 암에 걸렸을 때는 보상을 받을 없다. 언제까지 지는 모르는 , 이왕 보험에 든다면 미리 대비해두는 것이 좋다.

3. 진단비 등 보장금액

진단비는 진단 치료나 수술 여부에 상관없이 선지급되는 비용이다. 최근에는 금액이 10%부터 100%까지 다양하게 지급된다. 일반암, 고액암, 생식기암, 소액암, 0기암 등으로 구분해 진단비 지급에 차등을 두고 있다. 보장금액 또한 진단비와 마찬가지다. 최근 들어 발병률이 높은 갑상선암이나 유방암 등은 보험사의 손해율이 높아 금액을 낮춰 지급하기도 한다. 때문에 자신의 상황과 가족력 암보험에 가입하는 이유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일반암과 고액암 차등 지급 항목과 지급비율, 진단비 보장금액 등을 꼼꼼하게 살핀 상품을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재진단, 전이암 알아보기

특약사항도 체크해야 한다. 특히 재발암이나 전이암을 보장하는 2차암 특약은 따져봐야 내용들이다. 재발암이나 전이암 2차암은 갱신형 특약으로 가입이 가능하다. 밖에도 다양한 항목을 특약으로 적용해 보장을 받을 있는 만큼, 특약 품목과 적용 보험 금액에 대해서도 확인이 필요하다.

5. 보장 개시일 등 알아보기

가입 기본 약관과 특약 내용 등을 정확하게 읽어보는 일은 절대 빼놓지 말아야 한다. 암보험의 보장개시일은 대부분 가입일을 시작으로 90 이후부터다. 이미 암에 걸린 가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그리고 가입 1~2 안에 진단을 받으면 보장금액의 50% 보장하는 상품도 있으니 주요내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런 중요한 사항이 약관에 자세히 설명돼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혹은 너무 내용이 많다는 등의 이유로 약관을 꼼꼼히 읽지 않는다. 귀찮다고 미루지 말고 읽어보도록 한다. 읽다가 이해가 가는 사항과 궁금증 등은 보험사 상담원에게 전화해서 물어보는 것이 좋다.

반응형

댓글